경기도의 코로나19 범유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도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2월 김포시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시작되었다. 2020년 8월 종교 시설 집합 제한 명령,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 등의 조치가 시행되었고, 12월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실행되었다. 2021년에는 학교의 원격 수업 전환, 누적 확진자 수 증가, 사망자 수 증가가 이어졌다. 2022년에는 일일 확진자 1만 명 돌파, 누적 확진자 100만 명, 200만 명, 300만 명 돌파 등 확진자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며, 2023년 1월에는 누적 확진자 800만 명을 넘어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재난 - 제2경인고속도로 갈현고가교 화재
2022년 12월 29일 제2경인고속도로 갈현고가교 인근 방음터널에서 폐기물 집게 트럭 화재로 시작되어 차량 45대가 소실되는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 경기도의 재난 - 화성 전지 제조공장 화재
2024년 6월 경기도 화성시 전지 제조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하여, 경찰 수사본부 구성 및 고용노동부의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수사가 진행 중이며, 외국인 불법 파견 및 안전 관리 소홀 등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범유행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은 이만희를 교주로, 요한계시록을 중심으로 한 종말론적, 메시아적 성격의 종교 단체로, 공격적인 전도 방식과 코로나19 집단 감염 등으로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며 주류 기독교계에서 이단으로 간주된다. -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범유행 - 이만희 (종교인)
이만희는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의 총회장이자 종교 지도자로, 계시록의 새로운 해석을 바탕으로 교리를 전파하며 신천지를 창립하여 선교 활동을 펼쳤으나,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집단 감염 사태와 횡령, 업무방해 혐의 등으로 사회적 비판과 논란의 중심에 섰다. - 대한민국 - 한국
한국은 동아시아 한반도와 주변 섬으로 이루어진 국가로, 삼면이 바다에 둘러싸여 중국, 러시아와 접하며, 고대 삼국 시대를 거쳐 고려, 조선 왕조를 이어왔으나 일제강점기와 광복 후 남북으로 분단되어 현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나뉘어 상이한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 대한민국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은 이만희를 교주로, 요한계시록을 중심으로 한 종말론적, 메시아적 성격의 종교 단체로, 공격적인 전도 방식과 코로나19 집단 감염 등으로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며 주류 기독교계에서 이단으로 간주된다.
경기도의 코로나19 범유행 | |
---|---|
경기도 코로나19 범유행 | |
개요 | |
병명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
바이러스 종류 | SARS-CoV-2 |
장소 | 대한민국 경기도 |
첫 사례 발생 지역 | 고양시 |
발생일 | 2020년 1월 26일 |
원인 지 | 후베이성 우한시 |
통계 | |
사망자 | 658명 |
완치 환자 | 42,174명 |
확진 환자 | 45,504명 |
기타 |
2. 경과
2023년 1월 1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80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3년 1월 사망자는 폭증해 8233명으로 늘었다. 치료중 사망하였다.
2. 1. 2020년
2월 21일 김포시에서 확진자 2명이 발생했다. 이들은 모두 대구 신천지 교회와 관련이 있으며, 뉴 고려병원 선별진료소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다.2월 중~3월까지 남양주시, 성남시, 의정부시, 군포시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들은 명지병원,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3월 17일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분당제생병원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였다.
4월~5월 21일까지 고양시, 포천시, 양주시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 서울의료원등 13개소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5월 22일 김포시 장기동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것은 부천에서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갔던 돌잔치와 관련이 있다.
5월 24일~6월 9일 사이에 사망자 4명이 발생하였다. 이 중 구리시와 광주시에서 처음으로 사망자가 나왔는데, 분당서울대병원, 성남시의료원, 순천향대학교병원,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폐렴 악화로 사망하였다. 이들 중 두 명은 집단감염과 연관된 것이다.
7월 사망자는 많이 나왔고 이 중 세 명은 부천시, 광명시, 시흥시, 수원시에서 처음 발생한 사망자다. 명지병원, 아주대병원 등 8개소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8월 14일 경기도는 집단감염이 확산되자 종교 시설에 대해 집합 제한 명령을 내렸다.
8월 15일 정부는 경기도, 서울특별시의 거리두기 단계를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격상시켰다.
8월말 화성시, 하남시, 양평군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성남시의료원, 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9월, 안양시, 김포시, 안산시, 평택시, 용인시, 이천시, 파주시, 가평군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 외 10개소 등 격리 치료 중 사망하였다.
10월~11월 사망자가 116명이 되었고, 오산시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2020년 11월 24일 수도권 거리두기가 2단계로 격상하였다.[1]
12월 초 잇따라 사망해 누적 사망자가 126명으로 늘어났다.
12월 8일을 기점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실행됐다.
12월 9일~12월 13일 신규로 사망자가 나와 135명으로 늘어났고 이 중 한 명은 여주시 첫 사망자다.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12월 14일~12월 31일 신규 사망자는 폭증해 263명으로 늘었다. 이 때문에 부천시사망자가 큰 피해를 입었다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 의정부성모병원, 성빈센트병원, 박애병원, 현대병원 외 45개소 치료 중 폐렴 악화로 오늘 0시에 사망하였다.
2. 1. 1. 2월
2020년 2월 21일 김포시에서 확진자 2명이 발생했다. 이들은 모두 대구 신천지 교회와 관련이 있으며, 뉴 고려병원 선별진료소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는 경기도 내 최초 확진 사례로, 더불어민주당은 신천지 교회의 비협조적인 태도와 정부의 초기 대응 실패를 강하게 비판했다.2020년 2월 중~2020년3월까지 남양주시, 성남시, 의정부시, 군포시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들은 명지병원,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2021년 2월 사망자가 폭증해 492명이 되었으며 이중 한명은 의왕시에서 첫 사망자 발생하였다 국군수도병원 외 200개소에서 치료중 사망하였다.
2022년 2월 5일 경기도 내 일일 확진자가 10449명으로 1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2월 6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3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2월 13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4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2월 17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5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2월 21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6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2월 23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7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2월 25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8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2월 27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9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2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2487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023년 2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8322명으로 늘었다. 치료중 사망하였다.
2. 1. 2. 3월
3월 17일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분당제생병원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였다.2. 1. 3. 4월 ~ 5월
- 2020년 4월~5월 21일까지 고양시, 포천시, 양주시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 서울의료원등 13개소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 2020년 5월 22일 김포시 장기동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것은 부천에서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갔던 돌잔치와 관련이 있다.
2. 1. 4. 5월 ~ 6월
5월 24일~6월 9일 사이에 사망자 4명이 발생하였다. 이 중 구리시와 광주시에서 처음으로 사망자가 나왔는데, 분당서울대병원, 성남시의료원, 순천향대학교병원,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폐렴 악화로 사망하였다. 이들 중 두 명은 집단감염과 연관된 것으로 밝혀져, 지역 사회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를 더욱 키웠다.2. 1. 5. 7월
7월 사망자는 많이 나왔고 이 중 세 명은 부천시, 광명시, 시흥시, 수원시에서 처음 발생한 사망자다. 명지병원, 아주대병원 등 8개소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2021년 7월 14일 경기도 일일 확진자는 465명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다. 사망자는 잇따라 662명이 되었고, 박애병원 외 4개소 치료중 사망하였다. 2021년 7월 18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5만명을 돌파하였다.[3] 2021년 7월 사망자가 크게 폭증해 683명으로 늘어났다. 치료중 사망하였다. 2022년 7월 5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50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7월 사망자는 대폭 폭증해 6398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2. 1. 6. 8월
- 8월 14일 경기도는 집단감염이 확산되자 종교 시설에 대해 집합 제한 명령을 내렸다.
- 8월 15일 정부는 경기도, 서울특별시의 거리두기 단계를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격상시켰다.
- 8월말 화성시, 하남시, 양평군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성남시의료원, 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 2021년 8월 1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6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1년 8월 29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7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1년 8월 사망자가 대폭 크게 폭증해 747명으로 늘어났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 2022년 8월 22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60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8월 사망자가 크게 폭증해 6791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 1. 7. 9월
2020년 9월, 안양시, 김포시, 안산시, 평택시, 용인시, 이천시, 파주시, 가평군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 외 10개소 등 격리 치료 중 사망하였다. 2021년 9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803명으로 늘어났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022년 9월 사망자는 대폭 폭증해 7138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2. 1. 8. 10월 ~ 11월
2020년 10월~11월 사망자가 116명이 되었고, 오산시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하였다.2020년 11월 24일 수도권 거리두기가 2단계로 격상하였다.[1]
2. 1. 9. 12월
- 2020년 12월 8일을 기점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실행됐다.
- 12월 9일~12월 13일 신규로 사망자가 나와 135명으로 늘어났고 이 중 한 명은 여주시 첫 사망자다.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 12월 14일~12월 31일 신규 사망자는 폭증해 263명으로 늘었다. 이 때문에 부천시사망자가 큰 피해를 입었다.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 의정부성모병원, 성빈센트병원, 박애병원, 현대병원 외 45개소 치료 중 폐렴 악화로 오늘 0시에 사망하였다.
- 2021년 12월 1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15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1년 12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1822명으로 늘어났다. 과천시에서 첫 코로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 2022년 12월 사망자가 대폭 늘어 7970명으로 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 2. 2021년
2021년 1월 1일, 사망자는 271명이 되었다. 이 중 한 명은 교정시설에서 사망하였다. 1월 중 사망자가 폭증하여 425명이 되었고, 이 중 한 명은 안성시 첫 사망자였다. 서울아산병원 외 100개소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2021년 2월, 의왕시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국군수도병원 외 200개소에서 치료 중 사망하여, 2월 사망자는 총 492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2021년 3월, 사망자가 크게 폭증해 537명이 되었다. 분당서울대병원 외 102개소에서 격리 중 사망하였다.
2021년 4월, 사망자가 또 폭증해 582명이 되었다.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외 199개소에서 격리 중 사망하였다.
2021년 5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638명이 되었다. 명지병원 외 33개소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2021년 6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654명이 되었다. 박애병원 외 15개소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2021년 7월 12일부터 모든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전면 원격 수업으로 전환되었다.[2] 7월 14일 경기도 일일 확진자는 465명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다. 사망자는 잇따라 662명이 되었고, 박애병원 외 4개소 치료 중 사망하였다. 7월 18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5만명을 돌파하였다.[3] 7월 사망자는 크게 폭증해 683명으로 늘어났다. 치료 중 사망하였다.
2021년 8월 1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6만명을 돌파하였다. 8월 29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7만명을 돌파하였다. 8월 사망자는 대폭 크게 폭증해 747명으로 늘어났다. 격리 치료 중 사망하였다.
2021년 9월 16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8만명을 돌파하였다. 9월 24일 경기도 일일 확진자는 1102명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다시 세웠다. 9월 3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9만명을 돌파하였다. 9월 사망자는 대폭 폭증해 803명으로 늘어났다. 격리 치료 중 사망하였다.
2021년 10월 16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10만명을 돌파하였다. 10월 사망자는 대폭 크게 폭증해 931명으로 늘어났다. 격리 치료 중 사망하였다.
2021년 11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1192명으로 늘어났다. 동두천시, 연천군에서 첫 코로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격리 치료 중 사망하였다.
2021년 12월 1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15만명을 돌파하였다. 12월 사망자는 대폭 폭증해 1822명으로 늘어났다. 과천시에서 첫 코로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격리 치료 중 사망하였다.
2. 2. 1. 1월
2021년 1월 1일, 사망자는 271명이 되었다. 이 중 한 명은 교정시설에서 사망하였다. 1월 중 사망자가 폭증하여 425명이 되었고, 이 중 한 명은 안성시 첫 사망자였다. 서울아산병원 외 100개소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2022년 1월 12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20만명을 돌파하였고, 1월 30일에는 25만명을 돌파하였다. 1월 사망자는 대폭 폭증해 2159명으로 늘어났다. 격리 치료 중 사망하였다.
2023년 1월 1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800만명을 돌파하였다. 1월 사망자는 폭증해 8233명으로 늘었다. 치료 중 사망하였다.
2. 2. 2. 2월
2021년 2월, 의왕시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국군수도병원 외 200개소에서 치료 중 사망하여, 2월 사망자는 총 492명으로 크게 증가했다.2022년 2월 5일 경기도 내 일일 확진자가 10449명으로 1만명을 돌파하였다. 이후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2월 6일 누적 확진자 30만명, 2월 13일 40만명, 2월 17일 50만명, 2월 21일 60만명, 2월 23일 70만명, 2월 25일 80만명, 2월 27일 90만명을 돌파하였다. 2월 사망자는 총 2487명이 되었다.
2023년 2월 사망자는 8322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2. 2. 3. 7월
2021년 7월 12일부터 모든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전면 원격 수업으로 전환되었다.[2]2021년 7월 14일 경기도 일일 확진자는 465명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다. 사망자는 잇따라 662명이 되었고, 박애병원 외 4개소 치료중 사망하였다.
2021년 7월 18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5만명을 돌파하였다.[3]
2021년 7월 사망자가 크게 폭증해 683명으로 늘어났다. 치료중 사망하였다.
2. 2. 4. 8월
2021년 8월 1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6만명을 돌파하였다.2021년 8월 29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7만명을 돌파하였다.
2021년 8월 사망자가 대폭 크게 폭증해 747명으로 늘어났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 2. 5. 9월
- 2021년 9월 16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8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1년 9월 24일 경기도 일일 확진자는 1102명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다시 세웠다.
- 2021년 9월 3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9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1년 9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803명으로 늘어났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 2. 6. 10월
2021년 10월 16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1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1년 10월 사망자는 대폭 크게 폭증해 931명으로 늘어났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2. 2. 7. 11월
2021년 11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1192명으로 늘어났다. 동두천시, 연천군에서 첫 코로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2. 2. 8. 12월
2021년 12월 1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15만명을 돌파하였다. 2021년 12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1822명으로 늘어났다. 과천시에서 첫 코로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2. 3. 2022년
2022년 1월 12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2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1월 3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25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1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2159명으로 늘어났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022년 2월 5일 경기도 내 일일 확진자가 10449명으로 1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6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3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13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4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17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5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21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6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23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7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25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8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27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9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2487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 2022년 3월 2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100만명을 돌파하였다.[4]
- 2022년 3월 9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15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3월 15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20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3월 19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25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3월 24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30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3월 3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35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3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4333명이 되었다. 치료중 사망하였다.
2022년 4월 6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40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4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5877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022년 9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7138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022년 10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7297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022년 11월 9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70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11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7625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022년 12월 사망자가 대폭 늘어 7970명으로 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 3. 1. 1월
2022년 1월 12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2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1월 3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25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1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2159명으로 늘어났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2. 3. 2. 2월
- 2022년 2월 5일 경기도 내 일일 확진자가 10449명으로 1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6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3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13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4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17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5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21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6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23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7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25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8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27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9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2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2487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2. 3. 3. 3월
- 2022년 3월 2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100만명을 돌파하였다.[4]
- 2022년 3월 9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15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3월 15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20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3월 19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25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3월 24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30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3월 3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35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3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4333명이 되었다. 치료중 사망하였다.
2. 3. 4. 4월
2022년 4월 6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40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2년 4월 사망자는 대폭 폭증해 5877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2023년 4월 사망자는 대폭 증가하여 8406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 중 사망하였다.
2. 3. 5. 7월
- 2022년 7월 5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50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2년 7월 사망자가 대폭 폭증해 6398명이 되었다. 격리 치료중 사망하였다.
- 2021년 7월 12일부터 모든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전면 원격 수업으로 전환되었다.[2]
- 2021년 7월 14일 경기도 일일 확진자는 465명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다. 사망자는 잇따라 662명이 되었고, 박애병원 외 4개소 치료중 사망하였다.
- 2021년 7월 18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5만명을 돌파하였다.[3]
- 2021년 7월 사망자가 크게 폭증해 683명으로 늘어났다. 치료중 사망하였다.
- 7월 사망자는 많이 나왔고 이 중 세 명은 부천시, 광명시, 시흥시, 수원시에서 처음 발생한 사망자다. 명지병원, 아주대병원 등 8개소에서 치료 중 사망하였다.
2. 3. 6. 8월
2. 3. 7. 11월
2022년 11월 9일, 경기도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700만 명을 돌파하였다. 같은 해 11월, 경기도의 코로나19 사망자는 7625명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이들은 격리 치료 중 사망하였다.2. 4. 2023년
2023년 1월 1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80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3년 1월 사망자는 폭증해 8233명으로 늘었다. 치료중 사망하였다.2. 4. 1. 1월
2023년 1월 10일 경기도 누적 확진자가 800만명을 돌파하였다. 2023년 1월 사망자는 폭증해 8233명으로 늘었다. 치료중 사망하였다.참조
[1]
웹인용
수도권 거리두기 24일 0시부터 2단계로 격상...호남권은 1.5단계
https://www.yna.co.k[...]
2020-11-24
[2]
웹인용
경기·인천 지역 원격수업 전환...돌봄 공백 우려
https://n.news.naver[...]
2021-07-12
[3]
웹인용
경기도 신규 확진 373명…누적 확진자 5만명 넘어서
https://newsis.com/v[...]
2021-07-19
[4]
웹사이트
(추가 정보 필요)
https://www.yna.c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